아동발달    

 

 

 

아동상담이론

 

아동상담기법

 

동물매개치료

 

심리검사


 

 

 

 

 

아동상담 이론


 

대상관계이론


  대상관계이론은 사람은 날 때부터 혼자가 아니며 따라서 대상을 추구하고 대상관계를 맺는 양상이 이해의 초점이 되야한다는 것이다. 대상관계라는 개념은 이미 Freud가 썼으나 이것을 일반이론에 체계화하지는 않았다. 유기체를 한 소외된 상태로 보지 않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연구하려는 1930년 대의 일반적 추세에 따라 정신분석학 내에서도 차츰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 갔다.

M. Balint(1935, 1949, 1952)는 일찌기 대상관계 발달에 관심이 많았고 정신분석학 치료 실제가 상호 소통과 인간 대 인간 관계에 기인한데 비해, 정신분석학 일반 개념들이 "한 사람 심리학, onebody-psychology"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R. Spitz(1967)도 Freud가 <성이론에 대한 세 가지 논의, 1905>에서만 어머니와 아이의 상호관계에 대한 언급을 했고, 리비도적 대상은 오직 주체의 입장에서만 다루고 있음을 비판했다.

M. Klein과 W. D. Fairbairn도 이 이론이 정착되기까지 커다란 역할을 했다. W. Mertens(1990)는 이 이론이 정착된 시기를 1950년 H. Hartmann이 자아(Ich)와 자기(Selbst)를 구별한 때로 본다. 1964년 Edith Jacobson이 <자기와 대상들의 세계>를 발표하면서 구조적인 측면과 발달 심리학적인 연구가 속속 서로 연결되었다. O. Kernberg는 그의 경계선적 장애 연구에 이 이론을 적용하고, 이를 현대 정신분석에 수렴시키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고 있다.

정신분석적 개념으로의 대상관계(Objektbeziehung)란 실제적 관계와는 구별된다. 자신의 성격특성을 가지고 태어나는 각각의 개인은 그의 발달과정에서 주요대상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성장한다. 여기서 내재화(Internalisierung)와 외재화(Externalisierung)의 과정이 일어난다. 이 과정을 체험하는 주체(Subjekt)는 이 체험의 현실적, 상상적 내용을 심리내적인 표상으로 변화시키며 이는 심리내적인 조절(regulation)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인간에게는 자기표상(Selbstrepr sentanz)과 대상표상(Objektrepr sentanz)이 형성되고 이 둘 간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된다. 이 표상들은 발달 과정에서 수정되거나 부분적으로 억압되어 무의식적인 소망으로 머물게 된다. 이것은 전이( bertragung)현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 이론은 현재 정신분석학에서 필수적인 연구분야로서 그 중요성은,

1) 주체(Subjekt)가 자기 소망에 따라 일방적으로만 객체(Objekt)를 구성하리라는 이론적 왜곡을 극복하는데에 있다.

2) 구조 이론과 오디푸스 콤플렉스, 가부장적 이론 체계가 모성적 특성-받쳐주고, 안아주고, 쓰다듬어주고, 얼러주고, 진정시켜주는 등-의 개입으로 보완되었다는 사실이다.

현재 정신분석 이론과 치료기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연구가로는 Melanie Klein, D. W. Winnicott, M. Balint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세가지 측면, 즉 1) 환경의 영향 2) 내적 대상의 환상적, 상상적 특성 3) 추동의 역할 중 어디에 더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각기 차이를 보이고 있다.

M. Klein의 신생아의 선천적 파괴성의 조절에 관한 이론 저변에는 Freud의 죽음의 추동이 깔려 있다. 신생아는 자신의 파괴적 성향을 분리하여 어머니의 <한 가슴>에 투사하고, 추적당하는 것으로 지각, 편집증적 불안을 갖는다. 그리하여 우선 자기 폐쇄적-편집증적 입장을 취하고, 후에 우울증적 입장에서 상상적으로 잘못한 것을 다시 잘 개선하려고 하는 시도를 보인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은 생후 몇 달간 어머니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환상적, 상상적 차원에서 모든 신생아에게서 일어난다고 한다. 투사적, 내사적 동일시(projective, introjective identification)는 일생동안 지속되며 모든 인간관계, 집단관계를 이끌어가는 내용이 된다.

Klein의 미성숙기의 방어기제, 분열(Spaltung, splitting)에 관한 이론은 현재 정신분석 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투사적 동일시에 대하여는 Klein 파가 아닌 미국인 T. H. Ogden에 의해 더욱 깊이 연구되어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다.

D. W. Winnicott는 Klein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나 환경과 모성적 역할에 더 역점을 두고 있다. 그는 Freud 이론에 잠재되어 있는 관계적 측면을 지적하고 성장촉진적 환경, 모성적 염려, 어머니와 신생아의 단일성, 과도기적 대상(transitional object),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 enough mother), 진정한 자기-잘못된 자기의 구분 등을 통해 Bion의 간직하기(containing)와 더불어 초기 장애의 이해와 치료 기법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M. Balint의 기초 장애와 원초적 사랑(primary love)에 대한 이론과 퇴행의 치료적 활용에 관한 연구는 그의 S. Ferenczi 이론의 정리와 더불어 현대 정신분석학에 큰 업적을 남겼다. Balint는 신생아가 나름대로 관계를 통해 상대방을 사랑하려 한다고 주장하고, 이 관계의 조화가 극적으로 나쁠 때 기초장애가 일어나며 이는 퇴행을 통해서 치유가 가능하고, 치료가 성공적일수록 피분석자는 현실에서 일어나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Realit tsmoral). 대상관계 이론의 발전에 의해 상담 치료실제에서는 대상관계 발달과 자아 기능에 대한 인식이 깊어가게 되었고, 피분석자 혹은 내담자의 대상관계 발달의 수준, 그 분화정도, 현실검증 능력 수준, 신호불안의 적절한 활용 정도, 정동(Affekt)의 분화 정도 등을 진단할 수 있게 되면서 차츰 치료적 분석이 가능한 내담자 층이 확대되게 되었다.

근 50년의 세월을 거쳐 정신분석학 상담 치료 실제에 중추를 이루고 있는 관계(Beziehung)의 측면이 우여곡절 끝에 정신분석학의 전반적 이론에 수렴되게 되었다. 이 이론은 역동적인 추동 발달과 오디푸스 갈등 등의 의미를 배제하지 않고 주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에 치중하고 있다.

1) 상호관계와 그 내재화의 관계. 아이와 부모와의 관계는 어떻게 내적 체험 세계에 내재화되는가? 대상관계는 실제로 있었던 상호관계나 외상적 사건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2) 어떤 대상관계 차원들이 구별되는가?

3) 어떤 자아기능(지각, 사고, 현실검증, 정동분화 등)들이 대상관계의 의존변인으로 발달하는가?

4) 어떤 이유로 아이는 어떤 발달 단계를 극복하지 못하는가? 왜 나중에 분석가의 어떤 기능을 내재화할 수 없는 것인가? 등등이다.
 

아동상담이론
아동상담 이론

  어떤 이론들이 있나요?

  정신분석(정신역동)치료의 이해

  프로이드 이론의 주요개념-본능 심리학

  에릭슨의 자아심리학

  자아심리학 치료이론

  대상관계이론

  Kohut의 자기심리학

  자기심리학의 주요개념

  자기심리학의 병인론

  자기심리학 치료이론

  행동주의, 행동수정, 학습이론 개관

  행동치료의 다양한 접근법

  행동치료의 주요 개념들

  행동수정 기법

  로저스의 인본주의 치료이론

  인본주의 치료의 주요개념

  인본주의 치료기법

  인지치료 이론

  엘리스(Albert Ellis)의 A-B-C 모델

  합리적-정서적 행동 치료의 기법

  벡(Beck)의 인지적 치료와 우울증

  마이헨바움의 인지적 행동수정

  글래서와 현실요법

  현실요법의 주요 개념들

  현실요법의 8가지 단계

  게스탈트 치료이론 또는 형태 심리학

  게스탈트치료의 주요개념

  게스탈트치료의 기법

  의사교류분석 이론

  아들러학파의 개인 심리학

  실존주의치료 이론

  라벤의 동작이론

  생태학적 접근방법

  애착이론과 아동치료

  심리치료통합과 포스트모더니즘

  맥락주의와 시스템이론

  심리치료통합의 선구자들

  공통요인 통합모델

  심리치료통합과 생태학적 관점

  공통요인 통합모델의 생태시스템 모델

  이론통합모델과 인지-행동치료

  이론통합모델과 REBT

  기술적 절충주의와 복합모델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