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리검사의 정의
심리검사를 가장 단순하게 정의한다면, 심리적 현상에서의
개인차를 비교하고 개인의 전체 인격적, 행동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적 측정(psychological measurement)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검사가 심리학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심리검사를 정의하기에 앞서 우선 심리학적 측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심리학적 측정이란 개인의 행동을 특징짓는 성질, 즉 심리적 특성을 수량화하고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심리학적 측정은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한
간접적인 측정이다. 왜냐하면 심리적 특성은 추상적인 구성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학적 측정은 구성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측정도구인
심리검사를 제작하고, 심리검사를 통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만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심리검사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한다면, 심리검사란 두 사람 이상의 행동을 비교하는
체계적 과정이며 행동의 표본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정의에서 심리검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개념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본다.
첫째, 심리검사는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표본을 심리학적 방식으로 측정한다. 즉 개인 행동을 모두
측정해보지 않더라도 소수의 표본 행동을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전체 행동을 예견할 수 있게 해준다. 검사 제작과정에서 문항선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조건은 충족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러한 심리학적 측정은 표준화된 방식에 따른다.
표준화란 검사를 시행하고 채점하는 과정이 일정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검사의 표준화는 심리검사 반응이 실시조건이나 채점방식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해주고 검사 반응이 순수한 개인차를 나타낼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세째, 심리검사는
체계적 과정이다. 이는 하나의 심리검사가 여러 개인들에게 실시될 때 동일한 종류의 정보가 수집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표준화와 체계화 조건으로 인하여 주관적 판단을 방지해주며, 양적 측정을 통하여 개인간 행동을 비교할 수 있고, 횡단적인 시행을 통하여
개인내 비교도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2. 심리검사의 발달
심리검사를 처음 개발하고 사용했던
개척자로는 Galton, Cattel, Bient를 들 수 있다. Galton은 지능의 유전 가능성과 능력의 측정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Binet는 학습 지진아를 판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05년에 최초로 체계적인 아동용 지능검사를 개발하였다.
심리검사가
실제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집단심리검사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던 세계 1차대전 때부터였다. 군대 징집자들의 정신능력과 직업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20년에 최초의 성격검사가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집단용 검사로서 개인의 특정한 능력을 평가하는
적성검사가 개발 사용되었다. 이후 집단용 심리검사는 특히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1920년대부터 임상심리학자들의 활약으로 지능,
적성, 흥이, 성격검사들의 표준화가 급속도로 발전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투사적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재검토와 객관적 검사의 대폭적인
사용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여러 가지 주요 치료기법에 따라 심리평가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전되어 있다.
3.
심리검사의 목적
심리검사의 목적은 개인내, 개인간 비교를 통하여 개인의 행동이나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심리적 장애의 해결을 위한 치료개입과 전략을계획하고 수행하는 기초과정이라 볼 수 있다.
심리검사의 목적을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예측의 기능: 이때 예측이란 어디까지나 확률적 의미의 예측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예측이란 잠정적 추정이라고 할 수 있다. 더 확실한 근거가 나올 때까지 현재로서는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진단의 기능: 진단을 위해 검사를 이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검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진단을 목적으로 심리검사를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는 것 이외에도, 질적인 것을 파악하는데도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엄밀성이 요구된다. 즉 진단적 성향이 강한 검사일수록 검사자의 상당한 전문적 훈련과 자질을 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단 목적의 검사라
하더라도 단지 진단에 도움이 되는 한 방편일 뿐이지 검사 그 자체가 진단해주는 것은 아니다.
③ 조사적 기능:
사회학적 혹은 사회심리학적 연구목적으로 심리검사를 이용하는 경우로, 이때는 어떤 집단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를 사용한다.
④ 개성 또는 적성의 발견: 심리검사를 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개인의 개성이나 적성을 발견해서 거기에 맞는 상담과
지도를 하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