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들을 보면서 느끼는거겠지만 어쩌면 그렇게 엄마나 아빠를 쏙 빼닮았는지 가끔은 신비스럽기까지 한다. 눈이나 코, 입뿐만이
아니라 제발 닮지 말았으면 했던 못생긴 발까락까지 그대로 달고 나온 것을 보면 닮지 말 것을 닮았다는 미움보다는 내 분신을 보는 것 같아 뭐라
형용할 수 없는 짜릿함을 느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이런 신체뿐만이 아니다. 죽어도 이불을 덥지 않고 자려는 딸을
보면서 자신의 가슴을 치는 아빠, 사람들 앞에서 고개만 숙이고 있는 딸을 보면서 숫기 없는 엄마를 째려보는 아빠, 이렇게 성격이나 마음까지도
그대로 부모를 빼닮는다.
어디 부모뿐이랴! 때로는 딸의 모습을 보면서 할머니의 모습이 떠오르고, 때로는 할아버지나 심지어는
고모나 이모들까지도 빼닮는 경우가 있다. 그래도 이 정도는 양호하다. 어떤 모습이나 성격은 3대나 4대조의 조상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것들을 격세유전(隔世遺傳 ; 양친의 형질이 잡종 제 1세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가 잡종 제 2세대에 나타나는 유전현상)이라 한다.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유전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유전학의 기반 개척·확립은, 너무도 유명한 멘델(G.J. Mendel)에
의해서였다. 그런데 근대 유전학의 성립은 일반적으로 <멘델법칙의 재발견>의 해인 1900년에 이룩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 이전까지는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은 액체상태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러한 부모의 유전물질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어 서로
섞이고 융합됨으로써 유전현상이 일어난다는 이른바 <융합 유전>의 사고방식이 지배적이었다. 이러한 때에 멘델은 완두의 7가지 대립형질
등에 대해 교배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얻은 잡종의 나타난 형질들을 수리통계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나중에 <멘델법칙>이라 하게
된 결론(가설)에 도달하였으며, 이를 <식물 잡종에 관한 연구(1865)>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멘델의
더 중요한 업적은, '대립형질을 지배하는 것은 유전적으로 대립적 관계에 있는 유전인자(factor), 즉 대립인자(현대유전학에서의
대립유전자)이다. 그리고 양성생식에 의해서 새로 형성되는 개체는 양친으로부터 유전인자를 하나씩 받게 되는데, 양친으로부터 받은 두 유전인자는
융합되지 않고 배우자 형성 때 각 배우자에게 독립적으로 하나씩 분리되어 들어간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론적으로 추정한 점에 있다.
이상과 같은 멘델의 업적은 오랜 세월 인정받지 못하다가, 1900년에 이르러 네덜란드의 드프리스의 옥수수에 대한 연구,
오스트리아의 체르마크와 독일의 코렌스의 완두에 대한 연구에 의해 비로소 확인되었는데, 이것이 앞서 말한 멘델법칙의 재발견이며, 이로써 자연과학의
유전학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1906년 베이트슨은 멘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우열의 법칙(제1법칙)>, <분리의
법칙(제2법칙)>, <독립의 법칙(제3법칙)>의 세 법칙으로 간추렸는데, 이 세 법칙을 묶어서 <멘델의
법칙(Mendelism)>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