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SM-Ⅳ 조음장애(Phonological Disorder(formerly Developmental Articulation
Disorder)진단 기준
A. 나이와 말씨에 적합한, 발달적으로 기대되는 언어음을 사용하지 못함[예: 음의 생성, 사용,
표현, 또는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 음을 다른 음으로 대치하기(target에서 /t/ 대신 /k/), 마지막 자음과 같은 음의
생략 등 음의 구성에서 잘못].
B. 언어음 생성의 장해가 학업적, 직업적 성취나 사회적 의사소통을 방해한다.
C. 만약 정신지체, 운동성 언어 결함, 감각성 언어 결함, 또는 환경적 박탈이 있다면, 말하기 장해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동반되는 정도를 초과해서 심한 정도로 나타난다.
부호화할 때 주의할 점: 만약 운동성 언어 결함이나 감각성 언어 결함,
또는 신경학적 상태가 있다면, 이는 축 3에 기록한다.
▣ 조음장애(종전의 발달성 구음장애, Phonological
Disorder(formerly Developmental Articulation Disorder)
1. 진단적 특징
조음장애의 필수 증상은 개인의 나이와 말씨에 적합한, 발달적으로 기대되는 언어음을 사용하지 못함이다(진단 기준 A). 이것은
잘못된 언어음의 생성, 사용, 표현, 또는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 음을 다른 음으로 대치하기(target에서 /t/ 대신 /k/를
사용), 음의 생략(예: 마지막 음)과 같은 음의 구성에서 잘못이 나타난다. 언어음 생성의 어려움은 학업적, 직업적 성취나 사회적 의사소통을
방해한다(진단 기준 B). 만약 정신지체, 또는 운동성 언어 결함이나 감각성 언어 결함이 있다면, 언어 장해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동반되는
정도를 통과해서 심한 정도로 나타난다(진단 기준 C). 만약 운동성 언어 결함이나 감각성 언어 결함, 또는 환경적 박탈이 있다면, 이는 축 3에
기록한다.
조음장애는 언어음을 올바르게 생각해 내지 못하는 음성 생성(즉, 구음) 장해와 언어음의 언어적 범주화 장애(예:
의미상 차이를 나타내는 음을 분류하기 어려움)를 수반하는 인지적인 수준의 음성학적 문제를 포함한다. 장애의 심각도는 말을 이해하는데 거의 또는
완전히 지장이 없는 경우로부터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전통적으로 음의 생략이 음의 대치보다 더 심하고,
언어 대치는 음의 왜곡보다 더 심하다. 가장 흔히 잘못 발음하는 구음(l, r, s, z, th, ch)은 발달 과정에서 후기에 습득되는
것이지만, 아주 심한 경우는 보다 일찍 발달되는 자음과 모음의 발음도 안 된다. 혀짧은 소리(즉, 치찰음의 구음 착오)가 특히 많다. 조음장애는 또한 음절과 단어 내에서 음의 선택과 순서에 잘못(예: ask를 만)이 나타날 수 있다.
2. 부수적 특징 및 장애
조음장애는 청각 장해, 구강 말단 언어 기전의 구조적 결함(예: 언청이), 신경학적 장애(예: 뇌성마비), 인지장애(예:
정신지체), 또는 심리사회적 문제와 같은 분명한 원인적 요소와 관련되기도 하지만, 적어도 취학 전 소아의 2.5%는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거나,
원인이 의심되는 조음장애를 갖고 있으며, 이런 경우는 기능적 또는 발달적 조음장애라고 불린다. 말하는 것이 늦게 발달될 수도 있다.
3. 특정 문화 및 성별 특징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평가함에 있어서 개인의 문화적, 언어적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데,
특히 2개 국어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성장한 개인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조음장애는 남성에서 더 많다.
4. 유병률
가벼운 정도의 조음장애의 유병률이 더 높지만, 6~7세 소아의 약 2~3%는 중간 정도에서 심한 정도의 장애를 나타낸다.
17세경에는 유병률이 0.5%로 떨어진다.
5. 경과
심한 정도의 조음장애가 있는 경우, 소아의 말을 심지어
가족까지도 이해하지 못한다. 덜 심한 경우는 유치원이나 국민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장애가 있는 줄 모르고 지낼 수 있고, 가까운 가족 이외의
사람들은 발견하기 어렵다. 이 장애의 경과는 동반되는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다. 원인을 모르는 가벼운 정도는 흔히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6. 가계 양상
가계 양상이 조음장애의 일부 유형에서 보고되었다.
7. 감별 진단
말하기
장해는 정신지체, 정각 장해, 다른 감각성 결함, 운동성 언어 결함, 심한 환경적 박탈과 연관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지능 검사,
청각 검사, 신경학적 검사, 그리고 과거력에 의해 확일 될 수 있다. 만약 말하기 장해가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동반되는 정도를 초과해서 심한
정도로 나타난다면, 조음장애를 동시에 진단 내릴 수 있다. 문제가 언어 리듬이나 소리에 구한된다면, 조음장애에 포함되지 않고 대신에
말더듬기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의사소통장애로 진단된다. 환경적 박탈로 인한 말하기 장해가 있는 소아는 일단 환경적 문제가 개선되면 빨리
회복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