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분증은 대변을 가려야 하는 연령(대개 만
36개월이후)에 옷에다가 대변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남자에 많고 초등학생의 1%에서 보이며 사회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의 아동에 많고
기질적 질병이 원인이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니다.
유뇨증과 마찬가지로 태어난 이후 지속적인 1차성인 경우와 일시적인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이차성인 경우가 있으며 대개 둘째아이의 출생시 첫애가 갑자기 오줌, 똥을 가리지 못하는 일시적인 경우도 있으나 이는 병적인 경우가 아니라
정신적인 상처를 표현하는 미숙한 방법이고, 아이도 바로 적응을 하며 고쳐집니다.
이차성은 일시적이고 대개 좋아지나 1차성이고
2차성이고 만성 변비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만성변비의 경과와 아동이 같은 심리적 상처등을 미리 알아서 치료를 해주어야 함이
아주 중요합니다.
만성 변비가 지속되면 대변이 항문근처의 직장에 누적되어 싸이게 됩니다. 직장에 싸인 대변들은 직장의 확장을
가져오고 확장된 직장벽은 수축시키는 신경을 마비시키고, 배변을 볼 수 있는 능력도 없고 신경마비로 배변을 볼 의욕도 없이 직장내 대변은 누적이
계속됩니다. 만성 변비는 흔히 이단계가 되고 배변볼 때나 보고 싶지 않을 때에도 직장내에 누적되어온 토끼똥만한 깡깡한 변들이 밀려 나오는
배변현상이 됩니다.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아동은 놀림이나 따돌림을 당하고 이차적으로 이유모르게 유치원이나 학교 등 또래아이들과 같이
있기를 싫어하고 학습능력도 떨어지면서 우울한 상태가 됩니다.
이에 대해 부모는 보복적 혹은 징벌의 방법을 쓰기도 하고 말 수가
적어진 아동은 무의식적 분노와 반항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아 아동의 학습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당연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는 부모가 많은 비용을 들여 학교와 과외 등에 투자를 해보았자 아동은 부모의 투자에 비해 정반대의 결과를 향해 계속
나아갑니다.
유분증의 치료는 유뇨증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동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아동의
놀이치료뿐만이 아니라 반드시 부모상담도 너무 중요하고 또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변비치료를 하였을 경우 75%이상이 유분증 증상이
좋아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