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을 보이는 환자들의 이야기는 이전부터 여러 영화에서 때로는 코믹하게 때로는 낭만적으로 많이 그려지고 있는 주제입니다.
하루에도 수 십번씩 손을 씻는 사람으로 자주 묘사되어지죠.
그러나 이
병을 앓는 사람들은 정말 괴롭고 힘든 투쟁을 하고 있습니다.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란
용어에서 보듯이 강박장애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행동(Compulsion)으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강박사고란 반복적이며 하지 않으려 해도 할 수밖에 없는 생각, 느낌, 관념, 감각
등이 침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강박행동이란 숫자세기, 확인, 무엇을 회피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말합니다. 강박사고는 불안을 증가시키고 반면 강박행동은 불안을 감소시킵니다. 강박적
사고는 대개 의식 혹은 강박적 행동과 공존합니다. 따라서
강박장애 환자들의 대부분(거의 80%)이 강박관념 뿐만
아니라 강박행동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신적
강박행동(mental compulsion)까지 포함한다면 거의 모든 환자가 둘 다 갖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들 환자들의 소수가 강박관념으로만, 가장 흔하게 해를 입히는 강박관념으로 고통받습니다. 해를 입히는 강박관념을 가지는
환자들은 타인들을 해치는 것(예를 들면, 교살하기)에 대하여 두려워하며, 칼, 가위, 유리조각과 같이 날카로운 물체와 밧줄을 회피하거나,
어린아이들 혹은 무력한 나이 많은 사람들과 혼자 있게 되는 것을 회피합니다.
회피행동은 두 유형,
즉 활동성 회피와 수동성 회피로 구분됩니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불안과 불편을 유발할
수 있는 자극을 회피하는데 이를 수동성 회피라 합니다. 활동성 회피는 수동성 회피가 실패한 경우에, 강박관념적-강박행동적 행동의 운동적 구성요소를 말합니다.
수동성 회피의 예들은 혼자 있게 되는 것, 차를 운전하는 것, 짝짓기를 사용하는 것, 혹을 자러 가는 마지막 사람이 되는 것과 같이 그들의
의식을 유발하는 상황을 회피하는 점검 강박 행동을 가진 사람입니다. 청소 혹은 씻기 강박관념을 가진 개인은 더러운 것을 회피하려는 많은 예방책을
취합니다. 강박관념이 죽음과 관련될 때, 사람들은 신문 읽기(사망기사), TV보기 및 장례식에 가기와 같은 죽음의 개념을 암시하는 모든 종류의
상황을 회피하기도 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강박장애의 4가지
주된 증상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인데 손을 씻거나 오염대상을 강박적으로 피한다.
- 둘째, 의심하는
강박사고인데 확인을 하는 강박행동이 뒤따른다. 난로확인과 같은 위험하고 난폭한 것에 관한 의심일 경우가 많다.
- 셋째, 강박행동이
없이 강박사고만 있는 경우로 대개 성적이거나 공격적 행위에 관한 반복적 사고이다.
- 넷째, 양측을 대칭으로 맞추거나 정확하게
하려는 것으로 결국 강박적 느림으로 나타난다.
이외에도 죽음이나 삶의 가치 및 우주관 등 해결될 수 없는 관념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이나 종교적 강박사고도 흔하다.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수를 세고 머리를 긁적거린 후에 일을 하는 것과 같은 강박적
의식행위를 보이기도 한다.강박적으로 머리털을 뽑는 발모광과 손톱을 물어뜯는 증상도 이 질병과 관계된 강박적 행동일 수
있다. 하지만 뚜렛장애나 기타 틱장애, 측두엽간질, 외상이나 뇌염후의 합병증 등과 유사할 수도 있으므로 의학 구별이 필요하고 정신
분열병이나 강박성 인격장애, 우울증,건강 염려증, 병적도박 등과 같은 장애와도 구별이 필요하다.
환자들은 그 강박사고가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이로
인해 괴로워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사고들은 갑자기 의식에 침입하여 주관적인 불안을 증가시킵니다. 이들 생각들이 의미가
없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들은 그것을 무시하거나 깨끗이 잊어버릴 수 없습니다. 비록, 강박적 충동들이 강제적인
현실감들을 수반하나, 강박관념을 지닌 사람들은 거의 이러한 충동들을 행하지는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강박관념들은 흔하지만 임상적 강박관념은 보통의
강박관념과 본질면에서보다 정도(degree)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아들에게는 이러한 조건이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이러한 판단을 내릴만한 충분한 인식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