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는
음식재료가 없거나 혹은 너무 비싸서 먹고 싶은 것도
못먹고 살았지만 포식의 시대라 불리는 현대인들은
적어도 먹고싶은 것은 언제든지 먹을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이렇게 풍부한 음식이 있는데도 한편에서는
'살을 빼고 싶다' 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먹지 않기
운동'이 많은 여성들에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다이어트는
주간지의 3대 테마 중 하나로서 지면을 채우고 있으며
비만 클리닉이라는 간판은 한집 걸러 한집꼴로 퍼져
있을 정도입니다. 이런 현상 속에서 단지 살을 빼고 싶다는
희망과는 다른 '병'으로서 사춘기 여자아이들에게 식사를
거부하는 '거식증'과 이것저것 쉴새 없이 먹어 치우는
'과식증'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식사를 하는 것'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은 상식의 범위를 넘어선
'삶에 대한 고통'과도 같은 것입니다. 섭식장애에 대한
연구나 치료도 상당히 진척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은 게 현실입니다.
섭식장애란
식사의 본래목적인 영양보충이나 체력증진과는 거리가
먼 마음의 문제나 적응문제를 감추려하거나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으로서는
'거식증'과 '과식증'이 있습니다.
거식증은
체력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야위었는데도 과도하게
더 살을 빼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영국의
황태자비인 다이애너가 이 병에 걸렸다하여 한동안
일반인들에게 화재가 된 일이 있습니다. 또한 얼마전 이
병에 걸린 가정주부가 자살을 하여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도 했습니다. 체중을 감소시키려는 행동은 대체로 비밀스럽게
합니다. 보통 가족과 함께 또는 공공장소에서 식사하려고
하지 않거나 살찌는 것에 대한 강박적 혐오에 대한
충동 때문에 식사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음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아 늘 음식에 대해 생각하기도
하고 요리 책을 수집한다거나 다른 사람을 위해 요리를
하기도 한다. 때때로 아는 사람 몰래, 대개 밤중에
게걸스럽게 많이 먹기도 하는 과식증을 보이나 그때는
일부러 토해 버리기 일쑤입니다. 설사제, 심지어 이뇨제까지
남용하여 체중을 줄이려 하는데 이 경우는 흔히 약물중독으로까지
발전합니다. 또한 이 때문에 후유증으로 구강, 식도,
위장계에 상처가 생기고 신체 대사장애로 경련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렇게 체중이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일반 활동은
여전히 평소와 같이 왕성한 수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 왕성한
행동은 의도적이고 강박적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하면
체중이 계속 감퇴하다 가 결국 죽기도 합니다.
거식증
환자들은 체중증가나 비만에 대해 심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왜곡된 신체상으로 인해 체중 미달 상태에서도
끊임없이 체중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거울이나 사진 등을 보여줘도
그것을 인정하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거식증은 인간
대뇌에서 식욕, 체온, 그리고 다양한 신경내분비 기능을
담당하는 중추인 시상하부의 이상이 발병 원인이라는
견해가 유력하며, 일부는 유전적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현대 사회가 지나치게 날씬함과 운동, 젊은
모습을 강조하여 거식증이 생긴다는 주장도 있는데,
패션모델이나 발레리나, 운동선수와 같이 체중과 관련된
직업적 경쟁이 심한 경우 거식증의 발병률이 더 높다는데서
그 근거를 주장하기도 합니다. 심리학적으로는 발달상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데, 사춘기를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신체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성적, 사회적 긴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음식을 피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정신분석학에서는
부모로부터 적절한 독립을 하지 못하여 왜곡된 행동을
통해 자신의 자율성을 얻으려는 노력 등이 가설로서
주장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이 어떻든 거식증은 생명과 직결된다는데 그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식증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지침은 가급적 빨리 영양의 균형을 회복시켜 기아로
인한 신체적 손상을 막고 체중증가에 이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입원치료, 심리치료, 가족치료,
약물치료를 포함한 종합적인 치료계획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환자의 견해에 공감해주고,
환자 나름대로의 생각, 느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