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사람들은 냉정하다든지 자기밖에 모른다는 말들을 자주
한다. 도시 사람이 곤경에 처한 낮선 사람을 보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조사한 사회심리학 연구가 있다. 그 연구의
배경에는 어떤 사건이 있었다.
1964년
어느 날 밤, 뉴욕의 주택가에서 키티 제노바스 라는
여성이 귀가 도중에 강도를 만났다. 여성이 성폭행을
당하려는 순간, 소리를 질렀기 때문에 남자는 그 현장을
떠났지만 아무도 나타나지 않자 또 다시 돌아와 여성을
폭행했다. 그러한 폭행은 30분간 계속되었고 결국 여성은
살해되었다. 이 사건이 특이한 것은 범인이 아니라
주위에 살고 있었던 사람들이었다. 사건후의 조사에
의하면 38명이나 되는 사람이 여성의 비명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창에서 밖을 내다봐도 특별히 이상한
것을 발견하지 못해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한번뿐이 아니라 계속적인 여성의 비명을 들으면서도
누구 한사람 도와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사회의 도덕적 해이를 들었다.
하지만 달리와 라테인은 많은 사람이 비명을 들었기
때문에 오히려 도와주지 않았다는 생각으로 실험에
의해 이것을 증명하려 했다. 이를 방관자 효과라 한다.
방관자효과가 나타나는 요인으로서 '책임의 분산' '평가우려(청중억제)'
'다수의 무지(다원적 무지)' 의 세 가지를 들었다.
'책임의 분산'이란 자신 혼자밖에 없다고 생각하면
자신이 그 책임을 지지만 내가 아니어도 다른 사람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책임이 분산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평가우려'란 자신이 도우러 갔는데 아무일도 아니었을
경우에는 수치심만 들 것이라는 생각이다. '다수의
무지'란 자신이 도우러 가지 않은 것은 평가우려와
같은 이유에서지만 다른 사람이 가지 않는 것은 그
상황이 도움을 필요로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다른 사람도 평가우려와
같은 이유에서 도우러 가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의 생각을
모르기 때문에 자기 멋대로 그렇게 생각해 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방관자효과는 방관자의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또한
자신보다도 유능한 사람이 있으면 현저하게 나타난다.
한국에서도 최근 흉악한 범죄들이 버젓이 길거리에서
자행되고 있다. 직접 개입하는 것이 무리라면 최소한
경찰에 빨리 알리는 정도의 행동은 우리들의 의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